녕녀기의 실험일지

[ IT ] IT 용어 정리 3탄(5,6장) 본문

-- Data --

[ IT ] IT 용어 정리 3탄(5,6장)

녕녀기 2023. 4. 9. 22:10

안녕하세요. 녀기입니다.

 

오늘도 역시 돌아온 용어 정리 3탄!

 

https://nyeoki-log.tistory.com/8

 

[ IT ] IT 용어 정리 2탄(3,4장)

안녕하세요. 녀기 입니다. 지난 번 용어 정리 1탄에 이어 2탄 준비했습니다. 3장과 4장을 정리해 보려 하는데 쉽지 않겠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보겠습니다. (1탄이 궁금하신 분들은 보고 오셔

nyeoki-log.tistory.com

지난 번에 작성한 포스트를 보실 분들은 갔다 오시구용

 

시작해 보겠습니다!

 

사전적 의미의 출처는 위키 백과 입니다!😝


목차

  1.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2.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
  3. CSS(Cascading Style Sheet)
  4. JavaScript
  5. 웹 브라우저(Web Browser)
  6. 반응형 웹 디자인(Responsive Web Design)
  7. 하이브리드 앱(Hybrid App)

1.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 운영 체제에서 실행되는 모든 소프트웨어를 뜻함, 따라서 워드 프로세서, 스프레드시트, 웹 브라우저들 뿐만 아니라 컴파일러나 링커 등도 응용 소프트웨어에 속함

 

애플리케이션은 설치해서 사용하는 모든 프로그램이라고 합니다.

 

운영 체제 위에서 실행되는 모든 프로그램, 설치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어플, 앱 전부 같은 그룹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개발자가 개발한 어플리케이션의 버전에는 3가지 영역의 숫자로 구분됩니다.

 

만약 "1.0.0" 버전이 출시됐다고 보자면, 

 

(회사마다 다르지만 보통)

 

오른쪽 끝자리는 작은 변화를 의미합니다. 작은 변화가 있을 때 1.0.0 → 1.0.1로 버전업 하는거죠.

 

중간 숫자는 큰 변화가 있지만, 하위 버전과 호환이 가능한 변화이고,

 

왼쪽 끝자리는 큰 변화로, 하위 버전과 호환이 되지 않는 버전입니다.

 

 

보통 변동이 가능한 회사 정책에 관한 정보는 어플리케이션에 넣지 않습니다.

 

가격을 예로 들어보죠.

 

1.0.0 버전에서 서비스 가격이 10,000 원이었는데, 

 

2.0.0 버전에서 서비스 가격을 20,000 원으로 올렸고 이를 어플리케이션에 공지했다고 하면

 

아직 1.0.0 버전의 사람들은 서비스 가격이 오른지 모를 것 입니다.

 

그런 황당한 경우를 막기 위해 변동 가능 정보는 API로 서버에서 불러오게 합니다.


2.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 : 웹 페이지 표시를 위해 개발된 지배적인 마크업 언어임, 제목이나 단락, 목록 등과 같은 본문을 위한 구조적 의미를 나타내는 것 뿐만 아니라, 링크 인용과 그 밖의 항목으로 구조적 문서를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제공

3. CSS(Cascading Style Sheet) : 마크업 언어가 실제 표시되는 방법을 기술하는 스타일 언어, HTML과 XHTML에 주로 쓰이며, XML에서도 사용할 수 있음

4. JavaScript : 객체 기반의 스크립트 프로그래밍 언어, 웹 브라우저 내에서 주로 사용되며, 다른 응용 프로그램의 내장 객체에도 접근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음

5. 웹 브라우저(Web Browser) : 웹 서버에서 이동하며(navigate) 쌍방향으로 통신하고 HTML 문서나 파일을 출력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의 응용 소프트웨어, 대표적인 HTTP 사용자 에이전트의 하나

 

HTML의 시작은 CERN에서, 모든 운영체제에서 형식이 일정한 파일을 동일하게 보이도록 하기 위해 고안됐다고 합니다.

 

HTML은 프로그래밍 언어가 아닌 브라우저 문서를 적을 수 있는 언어죠.

 

HTML의 디자인 기능을 추가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 CSS입니다.

 

CSS 코드는 HTML과 분리돼 있어 디자인을 수정하고 싶다면 CSS만 건드리면 됩니다.

 

HTML과 CSS를 합쳐서 '퍼블리싱'이라고 표현하고 이 작업을 하는 사람을 '퍼블리셔'라고 한다네요.

 

그리고 웹에서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하기 위해 JavaScript가 생겼습니다. 줄여서 js라고 합니다.

 

 

HTML, CSS, JavaScript는 전부 서버에 원본이 있습니다. 우리가 보는 웹은 전부 복사본 입니다.

 

HTML을 불러온 후, 거기에 연결된 CSS, JavaScript, 폰트, 이미지, 동영상 등을 다운받아 옵니다.

 

그래서 사본을 지운다고 서버에 있는 원본이 지워지지 않습니다.

 

웹의 장점은 애플리케이션과 달리 서버의 원본만 바꾸면 업데이트된 결과를 유저가 바로 받을 수 있습니다.

 

새로고침을 하면 계속 새로운 내용이 반영되죠.

 

물론 네트워크 환경이 빠르지 않다면, 웹은 서버의 내용을 바로바로 불러올 수 없을 것 입니다. 

 

그런 점에서 애플리케이션은 네트워크 환경의 영향을 덜 받습니다.

 

 

브라우저는 여러 개가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크롬, 엣지, 사파리, 파이어폭스, 오페라 등이 있죠.

 

만약 크롬을 쓰고 싶은데, 컴퓨터에 크롬이 설치돼 있지 않다면 어떻게 하시나요?

 

크롬을 다운받아 사용할 것 입니다.

 

그렇다면 크롬은 애플리케이션이고, 다른 브라우저도 마찬가지죠.

 

각 브라우저에 따라, HTML과 CSS, JavaScript의 신 버전을 사용하기 위해 업그레이드 해야 하고,

 

브라우저에 따라 기능을 구현해야 하기 때문에, 

 

브라우저 버전과 종류에 맞춰 기능이 정상 작동할 수 있도록 추가로 코드를 작성해야 하며, 

 

이를 '브라우저 버전의 파편화'라고 하고, 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파편화를 잡는다'라고 표현합니다.

 

모든 브라우저를 신경 쓸 필요는 없습니다. 점유율이 높은 브라우저 위주로 고려하시면 됩니다.


6. 반응형 웹 디자인(Responsive Web Design) : 하나의 웹 사이트에서 PC,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접속하는 디스플레이의 종류에 따라 화면의 크기가 자동으로 변하도록 만든 웹 페이지 접근 기법을 말함

 

반응형 웹이란, 브라우저의 가로 길이에 반응해 구성 요소가 변합니다.

 

공통으로 사용될 CSS 코드들은 놔두고, 레이아웃 위주로 나눠 작업해 각 기기의 디자인을 구현합니다.

 

즉, 웹 페이지의 크기가 사용자의 기기에 맞춰 변합니다.

 

크기가 변할 때 재사용하는 CSS가 있고, 특정 CSS는 변합니다.

 

이를 위해 넓이에 따른 CSS 추가 코딩이 필요하므로, 반응형 웹은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고 비용이 더 많이 들게 되죠.


7. 하이브리드 앱(Hybrid App) :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과 웹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이 결합된 애플리케이션

출처 : https://www.hanl.tech/blog/native-vs-hybrid-vs-pwa/

 

네이티브 앱(Native App) vs 하이브리드 앱(Hybrid App) vs 프로그레시브 웹 앱(PWA) - 정의와 장단점 | 하

첫 아이폰이 2007년 6월에 출시된 후 폭발적인 변화와 성장을 겪어온 모바일 앱 시장. 오늘 현재에는 다양한 방법으로 모바일 앱을 개발할 수 있다. 문제는 – 어느 […]

www.hanl.tech

 

설치해서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과 웹이 혼합된 형태입니다. 

 

보통 애플리케이션은 수정이 어렵고 심사가 까다롭습니다.

 

만약 수정을 쉽게 쉽게 해야 한다면, 앱의 일정 부분을 웹으로 구현하면 편리할 것 입니다.

 

업데이트도 최소한으로 진행될 것 입니다.


오...오늘은 생각보다 빨리 끝났습니다.

 

다음 챕터도 이렇게 빨리 끝났으면 좋겠어요😱

 

시험 공부하는 느낌이라 NOT EASY합니다ㅋㅋㅋㅋㅋ

 

그럼 다음에 봐요~

 

뿅!

 

'-- Data --' 카테고리의 다른 글

[ IT ] IT 용어 정리 5탄(9장)  (0) 2023.04.11
[ IT ] IT 용어 정리 4탄(7,8장)  (0) 2023.04.11
[ IT ] IT 용어 정리 2탄(3,4장)  (0) 2023.04.07
[ IT ] IT 용어 정리 1탄(2장)  (0) 2023.04.05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