녕녀기의 실험일지

[ SQL ] SQLD, SQLP는 무엇일까? (국가 공인 자격) 본문

-- Data --/- SQL -

[ SQL ] SQLD, SQLP는 무엇일까? (국가 공인 자격)

녕녀기 2023. 1. 27. 15:05

안녕하세요! 녀기입니다.

 

2023년도 들어선지 벌써 한달이 되었군요

 

(한달 동안 뭐 한거지...🤨)

 

뭐 이런저런 일이 있었지만, 새로운 출발을 위해 또 자격증을 준비하려고 합니다ㅎㅎ

 

자격증을 따는 이유는 사람마다 다양한 이유가 있겠지만....

 

일단은 공부죠!!ㅋㅋ

 

(스펙이 될지 안 될지 모르니 그런 요소는 패쓰!!)

 

일단 저는 비전공자이다 보니 학문, 업계 용어를 잘 모르니 전공자들보다 이해가 쉽지 않은 일이 더러 있었죠..ㅋㅋ 

 

자격증 공부를 하다 보면, 보통 암기를 주로 하고 나중에 까먹는 일이 반복되겠지만

 

 

핵심은!!

 

 

한번쯤 그 지식에 대해 공부를 해 보았냐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야 나중 가면 쉽게 생각나고 그러지 않을까요? (항상 쉽게 생각나지는 않지)

 

서론은 이쯤 하고 간단하게 SQL 관련 자격증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해 보고, 어떤 교재를 사용할지도 설명해 볼까 합니다.  

 

(블로그 첫 글이다 보니 구성이 보기 이쁘지 않을 수 있으니 양해 부탁드려요ㅠㅠ)

 


  1. SQLD란?
  2. SQLP란?
  3. 사용 교재 (a.k.a 노랭이)

1. SQLD란?

 

SQLD는 'Structured Query Language Developer'의 줄임말입니다. 

 

DB(데이터베이스)에 직접적으로 엑세스할 수 있는 SQL을 이용해,

 

DB와 데이터 모델링 지식을 기반으로 

 

-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

 

- 데이터 조작, 추출

 

등을 정확하고, 최적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SQL을 작성할 줄 아는 '개발자'를 의미한다고 합니다.

 

SQL을 이용해 DB에 접근하는 것에 자격이 필요한 이유를 아래와 같이 설명하고 있는데요.

 

출처 : https://www.dataq.or.kr/www/sub/a_04.do

Fig 1. 자격 검정의 이유

 

 

 

즉, SQL 원리를 정확하게 알고 있는 개발자를 가려냄으로써, 

 

DB 기반 정보 시스템의 성능과 품질의 하락을 막아내겠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자격 검정을 위해 보는 과목은 다음과 같이 두 가지입니다.

과목 세부내용
데이터 모델의 이해 및 분석
- 데이터 모델은 DB 구성과 처리에 가장 핵심적인 요소

- 어플리케이션이 데이터를 이용할 때 효율성 결정을 설계 단계에서 결정

- 엔터티, 속성, 관계, 식별자, 정규화 등 데이터 모델의 기본 지식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작업을 수행

SQL 이해 및 활용
- SQL 문법, 옵티마이저, 인덱스의 기초 원리를 이해

- 데이터 정의어(Data Definition Language)로 테이블 구조 생성/변경/삭제/재명명하고, 데이터 조작어(Data Manipulation Language)로 데이터 입력/조회/수정/삭제

- 집합 관계를 다양한 JOIN을 이용해 표현하고, 주종 관계 경우 서브쿼리를 사용하는 작업 수행

Table 1. 자격 검정 과목

 

 

세부 내용을 살펴 보면, SQLD 자격 시험의 방향과 의도를 파악할 수 있을 것 같아요.

 

그 의도에 맞춰서 공부하면 되겠죠?

 

(출제자의 의도를 파악해라!!🤔)

 

저는 참고로 SQLD를 공부합니다ㅋㅋ

 


2. SQLP란?

 

그럼 SQLP는 뭘까요? 

 

일단 SQLP는 'Structured Query Language Professional'의 줄임말로,

 

'개발자' → '전문가'로 바뀐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데이터 자격 검정 페이지에서도 

 

기존 SQLD에서 요구하던 능력에 더해,

 

- SQL을 내포하는 DB 프로그램과 응용 소프트 웨어 성능 최적화

 

- 성능 최적화를 지원할 수 있는 DB 개체(뷰, 인덱스 등)의 설계와 구현

 

등의 직무를 수행하는 전문가를 의미한다고 합니다. 

 

즉, 개발자보다 더 전문적인 능력을 요구한다고 생각하면 될 것 같아요.

 

그래서 그런지, SQLD는 응시 자격 조건이 없었지만(누구나 지원할 수 있습니다!)

 

SQLP는 응시 자격에 조건이 있습니다.

 

응시자격
학력 및 경력 기준
- 학사 학위 이상 취득한 자

- 전문 학사 학위 취득 후 실무 경력 2년 이상인 자

- 고등학교 졸업한 후 실무경력 4년 이상인 자


자격 보유 기준
- 국내, 외 데이터베이스 관련 자격을 취득한 자

- SQL 개발자 자격을 취득한 자

- 데이터 아키덱처 전문가 및 준전문가 자격을 취득한 자

Table 2. SQLP 응시자격 조건

 

 

 

학력/경력 기준이나 자격 보유 기준 중 하나라도 만족하면 응시 자격을 부여한다고 하네요.

 

저는 학사 학위가 있으니까 지원할 수 있을 것 같지만

 

전문가까지 자격은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이 드네요.

 

교육을 받으면서 강사님께 들었을 때,

 

DB에 접근해서 데이터를 원하는 형태로 가공만 할 수 있을 정도의 실력만 있으면 된다고 들었던 것 같기에..ㅎㅎ

 

(만약, 그렇지 않다면 댓글 써 주세요.)

 

(반박시 여러분 말이 다 맞습니다.)

 

(아무 것도 모르는 저를 위해 회초리를 들어주세요(?))

 

다시 돌아와서, SQLP는 SQLD와 달리 필기에서 한 과목을 더 테스트 합니다!

 

과목 세부내용
SQL 튜닝
- 불필요하게 많은 SQL을 수행하거나, 파싱을 많이 일으키거나, 많은 I/O를 일으키도록 구현하는 것은 성능 문제를 불러일으킴

- 고성능 SQL, 아키텍처 기반의 데이터베이스 튜닝 원리, Lock과 트랜잭션 동시성 제어 기법, 옵티마이터의 세부적인 작동 원리, 인덱스와 조인 튜닝 원리의 이해를 통해 SQL을 튜닝하는 작업 등을 수행

 Table 3. SQLP의 추가 응시 항목

 

 

거기에 실기 테스트까지 있다고 하니, 조금은 더 빡셀 수도 있겠네요😓

 


3. 사용 교재 (a.k.a 노랭이)

 

사용 교재는 'K data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에서 발행한 

 

'SQL 자격검정 실전문제' 입니다. 

 

출처 :http://www.yes24.com/Product/Goods/33524934

Fig 2. SQL 자격검정 실전문제

 

 

저는 아무 것도 모르고, 그냥 교보문고에 전시돼 있는 책을 사 왔는데 꽤 유명한 책인 것 같더라구요!!

 

제 여자친구나 리뷰된 다른 글을 보면

 

통칭 '노랭이' 라고 불리는 것 같습니다!

 

이 책이 SQLP 문제도 섞여 나와서 실제 시험보다 어렵다고 하는데,

 

오히려 잘 됐습니다(?)

 

어려워야 실제 시험에서 잘 볼 수 있을테니까요ㅋㅋㅋㅋ

 

시험을 위한 여러 이론과 지식에 대한 자료는

 

인터넷 상에 퍼져 있는 온갖 자료를 참고하며 공부하는 것으로 해 볼까 합니다!!

 

 

 

다음 포스팅 부터는 단원 하나하나 정리를 해 보는 것으로 할게요~~

 

잡설이 길었는데 읽어 주신 분들께 감사하고

 

다음에 봬요!!

 

뿅!

Comments